본문 바로가기

전기차(EV)17

리튬(Li)의 특성 오늘날 리튬 이온 배터리는 스마트폰, 노트북, 무선 이어폰 선풍기, 헤어드라이어, 무선 청소기, 전기차의 배터리로 사용되면서 현대인들의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리튬 이온 배터리의 핵심 소재라 할 수 있는 리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작동 원리 및 구성 요소 전기자동차의 가장 중요한 부품은 무엇일까요? 내연 기관의 엔진에 해당하는 모터가 중요하겠지만 모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고 저장하는 배터리가 가장 중요한 부품이 아닐까요? 왜냐하면 n-flou.com 원소 리튬은 원자 번호 3번으로 가장 밀도가 낮고 가벼운 금속성 원소입니다. 원자량 6.941, 녹는점이 180.54℃, 끓는점은 1347℃, 비중 0.534를 가집니다. 주기율표에서 1족에 속하는 알칼리 금속이기.. 2022. 10. 14.
아이오닉 6의 공기 항력 계수 최근 현대차 전기차 아이오닉 6의 항력 계수 Cd값이 0.21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이는 역대 현대차 출시 모델 중 최저치이고 전 세계적으로도 출시된 전기차 중에서도 최상위권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항력계수가 공기 역학적으로 의미하는 것이 무엇이고 왜 중요한지 알아보겠습니다. 1. 공기역학 움직이는 물체와 공기가 상호 작용할 때 발생하는 흐름에 의한 역학 관계를 다루는 학문입니다. 자동차는 운전 중에 공기와 항상 상호 작용하고 있고 그것에 따르는 힘의 영향을 받기 마련입니다. 이때 자동차 주위의 공기 유동으로부터 속도, 압력을 측정 또는 계산을 통하여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구한 속도, 압력 값을 이용하면 자동차에 공기가 미치는 힘, 모멘트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공기의 속도 및 압.. 2022. 10. 10.
테슬라가 전기차의 시작 아니었어? 테슬라가 워낙 유명하니 전기차의 시작이 테슬라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전기 자동차의 역사는 꽤 오래되었습니다. 전기 자동차의 역사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최초의 전기 자동차 사실 전기 자동차는 니콜라우스 오토가 1864년 최초의 내연기관을 발명하기도 전 훨씬 전인 1834년 스코틀랜드의 로버트 앤더슨은 전기차 ‘원유전기마차(crude electric carriage)’를 발명했습니다. 세계 최초의 전기차라고 할 수 있지만 1차 전지로 만들어져서 재충전은 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1835년 산업박람회에서 전시된 적이 있는데 시속 12Km의 속력으로 달릴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원유를 사용했습니다. 그 후 1881년 프랑스의.. 2022. 10. 7.
전기차 배터리 작동 원리 및 구성 요소 전기자동차의 가장 중요한 부품은 무엇일까요? 내연 기관의 엔진에 해당하는 모터가 중요하겠지만 모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고 저장하는 배터리가 가장 중요한 부품이 아닐까요? 왜냐하면 고용량의 배터리가 개발되지 않았다면 지금과 같은 전기 자동차의 시장 확대는 불가능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배터리의 용량과 에너지 밀도의 증가가 전기 자동차 시장 확대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996년 GM에서 EV1이라는 전기 자동차를 출시하였지만 짧은 주행거리 (약 80 마일 ~ 140마일, 1마일은 1.6km) 와 높은 가격으로 인하여 시장 경쟁력을 가지지 못하고 2003년에 시장에서 사라졌습니다. 실질적으로 시장 매력을 가진 전기 자동차의 부활은 리튬 이온 전지 기술이 전기 자동차 배터리에 .. 2022. 10. 6.
전기 자동차의 정의 및 종류 친환경 자동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를 리딩하고 있는 전기 자동차의 정의를 명확하게 알아보고 그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얘기해 보겠습니다. 1. 전기자동차의 정의 흔히 전기 자동차라고 하는 것은 영어로는 Electric Car 또는 Battery Electric Car라고 불립니다. 이것은 간단하게 얘기하면 에너지원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자동차를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내연기관과는 달리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모터를 회전시키고 그것으로부터 운동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자동차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시 모터를 포함하여 동력계 구조에 따라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순수 전기차, 수소전기차 등 4가지로 좀 더 나눌 수 있습니다. 2.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 2022. 10. 3.
반응형